우리보다 조금 일찍
호나우딩요, 현주쌤이 하늘나라로 갔다.
서울에서 앰블런스로 이동되어 오는 현주샘을,
각별했던 서너 명의 동료와 함께
새벽 한시, 전북대장례식장에서 맞이하면서
'그리워도 다시 볼 수 없는 슬픔'이 비로소 실감되었다.
출근한 아침의 교무실은 무거웠지만
이내 타인들(the others)이 되어 연수신청의 보너스로 배달된 중국산셀카봉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느라
여기 저기에서 경쾌하게 찰칵거렸고, 오히려 슬픔이 지나치게 지배하지 않아서 다행스럽기도했다.
팔짱을 낄 때 느껴졌던, 여전히 겨드랑이에 남아있는 체온,
맨드라미 같은 웃음,
또각거리던 슬리퍼 소리,
한 글자만 봐도 바로 알아볼 수 있는 글씨체,
흔하던 농담.
천국은
지금쯤 막 들어온 신삥 호나우딩요 덕분에
훨씬 더 재마나고, 훨씬 더 야하고, 훨씬 더 왁자지껄한,
비로소 천국다운 천국이 되어있을테지만
지상의 나는 그 사람이
'참 많이 보고싶었다.'
내가 바라볼 수 없는
그 뜨락이
벚꽃같은 햇살이
자주자주 들이치는 뜰이었으면 좋겠다.
.
'A rose for E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 (0) | 2015.05.07 |
---|---|
모자라나요? (0) | 2015.05.06 |
김조조 (0) | 2015.04.27 |
꼰님이 (0) | 2015.04.25 |
사랑하라, 희망없이 (0) | 201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