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 rose for Emily

봄이 오면

 

학기 초가 되면 평소보다 출근을 일찍 한다.

야무지고 믿을만하다는 이미지까지는 아닐망정

경력이 쌓일수록 게으르고 대충이라는 말은 듣지 말아야지,

라는 다짐이 그나마 3월에는 아침에 눈을 번쩍 뜨게 한다.

 

얼마 전 읽었던 《부정성 편향》이라는 책의 내용에 의하면

부정적인 내용은 긍정적인 것에 비해 사람들의 뇌리 속에  4배의 임팩트를 준다고 한다.

이른바 '4의 법칙'이다.

이를테면 누군가에게 행한 한 번의 불쾌한 말이나 행동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네 번의 호의적 표현이나 칭찬이 필요하다.

한 번 지각을 한 사람이 지각쟁이라는 각인을 피하려면 한 번 일찍 오는 것으로는 어림도 없다.

적어도 네 번은 일찍 와야 한다는 것이다.

어쨌든 두 세 명 남짓 앉아 있는 교무실 문을 여는 서두른 출근은 당당하고 여유롭다.

 

학기초에 특별히 마음 다잡고 신경 쓰는 것은 이것만이 아니다.

담임 맡은 반 아이들에게 지나친 친절을 조심한다든지,

헤픈 웃음을 절약한다든지 하는 나의 태도는 어디까지나 전략적이다.

담임으로서 수월한 한 해를 보내기 위한 '엄격하고 깐깐한 담탱이' 코스프레의 일종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새로이 구성된 같은 학년의 동료 교사들을 향한 나의 이미지 관리도 빠뜨릴 수 없다. 

품격과 센스, 둘 다 거머쥐기 위한 언행의 강약 조절과 균형 맞추기는

3월 특유의 흥분 가득한 새롭고도 낯선 공기 속에서 불온한 스파이의 밀행처럼 계속된다.

 

하지만 오래가지 못한다.

교정에 벚꽃이 팝콘처럼 펑펑 터지는 3월 말 무렵이 되면

나의 갖가지 노력과 코스프레는 생명을 다한다. 거기까지, 이다.

주머니 속의 송곳처럼 나의 본색은 호주머니를 뚫고 삐죽삐죽 나오기 시작한다.

 

비디오 판독을 통해 겨우 쎄잎(safe~!!)을 얻어내는 발 느린 핀치히터처럼 출근을 하고

아이들에게는 친절하여 만만한 담탱이가 되며,

교무실에서는 그저 그렇게 나이 들어가는 어설픈 중늙은이 여선생이 된다.

 

방어의 두 팔을 내린 권투선수가 되니 스타일 구겨지는 일도 있지만

정형의 틀을 벗어난 내 맘대로의 자유로운 팔놀림으로 말미암아 내 영혼이 고단하지 않다.

 

 

 

 

교정의 붉은 벚꽃 멍울이 이빠이 부풀어 오르고 있다.

다음 주 초쯤이면 반짝이는 황홀로 가득할 것이다.

 

'봄이 오면'이라는 표현만큼 설레는 조건절이 또 있을까.

봄이 오면   [                         ].

앞의 '봄이 오면'이라는 조건절로 인해 뒤의 괄호 안의 내용은 어떤 말이 와도 두근두근 화사하다. 

 

 

살아있다는 즐거움, 존재한다는 황홀함이 내 것이기에

그다음의 괄호 안의 결정되지 않은 미래나 타인의 평가에 대해 그다지 조바심이 나지 않는다.

 

그런 봄이,

지금 곁에 와 있다.

 

 

다.

 

 

 

 

 

 

 

 

 

 

 

 

 

 

 

 

'A rose for E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잎잎이 춤춥니다  (0) 2021.04.01
짐짓  (0) 2021.03.24
야채 크래카  (0) 2021.03.02
나쁜 놈의 자격  (0) 2021.02.25
휘파람  (0) 2021.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