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 rose for Emily

좋아하거나, 싫어하거나

 

 

 

 

브랜딩에서도 콘셉트를 강화하기 위해선 배제가 필수다.

극단적인 배제의 예를 하나 소개한다.

영국 사람들이 사랑하는 '마마이트(Marmite)라는 뉴질랜드산 스프레드가 있다.

토스트나 비스캣에 발라 먹는 이 괴이한 잼 같은 것은

맛도 냄새도 지독하다고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해외여행에 고추장을 싸가듯이 영국 사람들 중엔

마마이트를 챙겨가는 사람도 많다.

어렸을 때부터 먹어오지 않으면 적응하기가 쉽지 않은 맛인데

좋아하는 사람은 아주 좋아하고 싫어하는 사람은 도저히 견녀낼 수 없다고 한다.

마마이트 본사는 이것을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게 만드는 것에는

추호도 관심이 없다.

마마이트의 슬로건은 '좋아하거나 싫어하거나(You either love it or hate.)이다.

...

전지전능하지 않은 우리는 필연적으로 무언가를 배제할 수밖에 없다.

배제해야 집중할 수 있고, 집중해야 비로소 어떤 색깔이 생기기 시작한다.

만둣국도 하고 아구찜도 하는 집보다는 만둣국만 하는 집이나 아구찜만 하는 집이 더 맛있는 법이다.

자, 이리저리 벌여놓은 것들 중에 무엇을 선택해서 집중할 지 고민해보자.

다시 말해 무엇을 배제할 것인가를 말이다.

- 김하나, <내가 정말 좋아하는 농담>, '커플을 받지 않는 게스트하우스' 중에서 -

 

 

 

 

 

 

 

 

함박눈이 첫사랑 소녀같이 내리고 있다.

나의 첫사랑은 모호했기에

사실은 그 느낌을 확실히 알지는 못하지만,

엊그제 <굿바이, 나의 첫사랑>이라는 소제목이 붙은 '응팔'에서

정팔이가 덕선이에게 이렇게 말했었다.

'나 정말 좋아서 돌아버리는 줄 알았었어.'

 

<흐르는 강물처럼>을 다시 봤다.

학생회 설교를 준비하면서 참고할 부분이 있어서였다.

오랫만에 방과후 수업이 없는 날이고, 아무도 없고, 눈까지 내리니 더할 나위없이 좋았다. 

젊은 브래드 피트의 미소는 황홀했고, 한 가족의 굴곡진 생애를 묘사하는 담담함은 장엄했다.

 

영화를 다 본 다음

설교제목을 <좋아하거나, 싫어하거나>로 잡아보았다. 

'배제의 아름다움'에 대해서 얘기할 것 같다.

결국은 진리의 배타성에 대해 말하려하는 것이지만.

 

"절반으로 줄여"

"다시 반으로 줄여"

"잘했어, 이제 버려"

노만의 글쓰기를 교정해주는 목사의 말이다.

 

글 잘쓰는 광고쟁이 김하나도, 로버트 레드포드도

줄여가기, 빼내기, 배제하기의 미덕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고,

나 역시 폭풍공감이다.

 

하지만, 영화 <내부자들>에서 백윤식이가 한 말이 더 진리같으니

나는 순전 후루꾸, 야매 신자임에 틀림없다.

"욕망을 하나씩 하나씩 없애가면 그만큼씩 차츰 행복해질거라는 생각은 대단한 개소리야"

 

 

 

 

 

 

 

 

 

 

 

 

 

'A rose for E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스듬히  (0) 2016.02.20
안아주기도 하고, 안놔주기도 하고  (0) 2016.01.23
tranquility  (0) 2016.01.09
황도복숭아  (0) 2016.01.06
유연하게, 유쾌하게  (0) 2015.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