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ose for Emily

더할 나위 없다.

Tigerlily 2021. 8. 16. 12:48

 

플라톤의 《향연》에서 디오티마는 에로스의 양면성을 출생 내력으로 설명한다.

신들이 잔치를 열어 아프로디테의 탄생을 축하하는 자리에 빈곤의 여신 페니아가 구걸하러 왔다가

술에 취해 잠들어 있는 풍요의 신 포로스에게서 에로스를 잉태했다고 한다.

디오티마는 에로스가 가난의 여신 페니아와 풍요의 신 포로스 사이에서 태어나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품에서 자랐기 때문에,

결핍된 것을 메우고자 하는 갈망과 함께 이 갈망을 메우기 위한 창조력을 타고났다고 한다.

페니아의 자식인 에로스는 늘 빈곤에 허덕이며 결핍을 느끼면서도,

풍요의 신인 아버지를 닮아 아름답고 선한 것을 추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랑은 풍요롭고 생기가 넘치다가도 가난과 무기력에 빠져 허전함으로 몸부림치기도 한다.

그렇게 사랑하는 사람은 보고만 있어도 또 보고 싶은 감정이 들기도 하고

사랑에 빠져 사리분별을 잃었다가도 지혜롭게 대처하기도 한다.

 

- 이명호 외 지음, 《우리는 어떻게 사랑에 빠지는가》, odos출판사, 56, 57쪽- 

 

 

에로스 탄생설화를 통해 사랑이 가지는 양가적 속성이 태생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나니

<The rose>라는 팝송에서 노래한

끝나지 않는 고통의 허기(endless aching need)이면서

동시에 꽃(flower)이라는 사랑의 은유는 더할 나위 없이 정확하다.

 

이상은의 노래 <비밀의 화원>에서 보듯

점심을 함께 먹거나,

새로 연 가게에서 민트향의 샴푸를 사는 따위의 아주 흔하고도 단순한 일조차도

다시 태어난 듯, 다시 꿈을 꾸게 된 듯 한 기분이 들게 하는 것이 사랑이다.

 

우리나라의 한 영화는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숨길 수 없는 사랑의 지극한 행복감을 '죽어도 좋아'라는

다소 외설스러울 정도로 솔직한 감탄사로 드러내기도 했다.

 

어디 그뿐이랴.

왕위마저 포기하기도 하고, 개종도 마다하지 않게 하는 힘,

문학을 비롯한 예술, 학문 등 세상의 아름다움은 사랑이 맺어내는 열매들이다.

 

하지만 사랑의 다른 이름은, 슬픔이고 외로움이다.

사랑에 사로잡힌 사람을 그림으로 표현한다면

함박 웃는 밝음이 아니라 야윈 창백함이 더 사실적일 것이다.

 

에로스의 핏 속에는 풍요의 신 포로스와 함께 가난의 신 페니아의 유전자가 같이 들어있다잖은가. 

포로스의 시간이 저물기도 전에 페니아의 지배력이 뻗어오기 시작한다.

애정의 감미로움은 더 많은 소유와 욕망을 부추겨 하얗게 야윈 결핍을 낳는다.

그래서 사랑은 외로움이다.

 

 

사람을 좋아하는 일이

꼭 울음처럼 여겨질 때가 많았다.

일부러 시작할 수도 없고

그치려 해도 잘 그쳐지지 않는.

흐르고 흘러가다

툭툭 떨어지기도 하며.

 

-박준 시인의 <울음> 전문- 

 

 

마음을 얻고 마음을 주는 일이

검붉게 잘 익은 자두를 베어 물어 과육의 달큰한 액체가 손가락 사이로 흘러 ,

옷소매까지 적시는 일이 되었었다.

적록색맹의 누군가에게 배롱나무 꽃잎의 붉은 아름다움과 4월 신록의 황홀함을 내 마음에 빗대어 설명하는 일이기도 했다.

 

 

 

가슴이 찢어지는 걸 두려워한다면 춤을 배울 수 없으며

죽는 것을 두려워한다면 결코 사는 법을 배울 수 없기에

자신은 사랑을 '꽃'이라고 말하고 싶다고, 

노래 <The rose>는 끝을 맺는다.

 

하지만

오감을 저릿저릿하게 하는 황홀이 없어도

무언가를 무릅쓰는 모험을 구태여 선택하지 않아도 

작은 꽃들은 내 삶에 시시로 피어나고 또 진다.

 

큰 소망이 없기에 느낄 수 있는 이 아침의 고요와 

채움을 기다리지 않는 한적한 외로움과 

시나브로 밀려왔다가 멀어지는 요동조차도 

나의 고요에 대한 위협이 되지 못하는 

이 희망없는 나이 듦이 참 좋다. 

 

더할 나위 없다.